과정명 | 언어학개론 | 지도교수 | 박지연 |
---|---|---|---|
수업방식 | 이론중심 | 학점 | 3학점 |
학습기간 | 2025-09-17 ~ 2025-12-30(총 15주) 학습목차 바로가기 | ||
성적증명서 발급 가능 | 2026-01-14 | 성적보고 완료일 | 2026-01-20 |
학점인정신청 가능일(온라인) | 2026.01.13.(화) 10:00 ~ 2026.01.30.(금) 17:00 | 학위취득 | 2026년 2월 전기 |
중간 | 기말 | 과제 | 토론 | 쪽지 | 참여 | 출석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30점 | 30점 | 10점 | 5점 | 5점 | 5점 | 15점 |
학사 | 문예창작학 전공,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 전공 |
---|---|
전문학사 | - |
A등급 | B등급 | C등급 이하 |
---|---|---|
20% ~ 30% | 30% ~ 40% | 30% ~ 50% |
구분 | 평가기간 | 비고 | |
---|---|---|---|
중간고사 |
2025-11-07 오전 10:00 ~ 2025-11-10 오후 10:00 |
1주차 – 7주차 (객관식 20문항, 주관식 5문항) |
|
기말고사 |
2025-12-26 오전 10:00 ~ 2025-12-29 오후 10:00 |
9주차 – 14주차 (객관식 20문항, 주관식 5문항) |
|
과제 |
2025-10-15 - 2025-11-18 (AM 10:00 – PM 22:00) |
||
토론 |
2025-12-12 - 2025-12-15 (AM 10:00 – PM 22:00) |
||
쪽지 |
2025-11-28 - 2025-12-01 (AM 10:00 – PM 22:00) |
||
참여 | 나의학습계획 |
2025-09-17 - 2025-10-07 (AM 10:00 – PM 22:00) |
|
소개서/중간평가 |
2025-11-12 - 2025-11-25 (AM 10:00 – PM 22:00) |
주차 | 학습내용 | 학습활동 |
---|---|---|
1 |
1차시. 언어와 언어학
[강의 목표] 1. 언어 3요소와 언어학의 개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언어학 하위 연구 분야와 연구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언어와 언어학의 개념 2. 언어학 하위 연구 분야 |
[전 차시 공통 제공] 1) 동영상 강의 - 교수자 얼굴 위주 촬영 - 화면 속 화면 2) 학습자료 - 강의교안(PDF) - 오디오(MP3) 3) 퀴즈 - OX퀴즈 1문항 - 객관식(사지선다) 2문항 |
2차시. 언어의 본질과 특성
[강의 목표] 1. 여러 학자들이 주장하는 언어에 대한 본질을 설명할 수 있다. 2. 인간 언어의 특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언어의 본질 2. 언어의 특성 |
||
2 |
1차시. 언어의 분류
[강의 목표] 1. 언어의 분류를 설명할 수 있다. 2. 언어의 계통적 연구와 유형적 연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언어의 분류 1) 언어의 분류 2) 언어의 계통적 연구 3) 언어의 유형적 연구 |
|
2차시. 언어와 문자의 기원
[강의 목표] 1. 언어의 기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문자의 기원과 발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3.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언어의 기원 2. 문자의 기원과 발달 3. 훈민정음의 제자원리 |
||
3 |
1차시. 음성학 Ⅰ
[강의 목표] 1. 음성학의 개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발음기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3. 음성의 종류와 체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음성학의 개념 2. 발음기관 3. 음성의 종류와 체계 |
|
2차시. 음성학 Ⅱ
[강의 목표] 1. 자음의 분류와 특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자음 명칭 명명 순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자음의 분류와 특성 1) 음성의 종류 2) 자음의 분류 3) 자음 명칭 명명 순서 |
||
4 |
1차시. 음성학 Ⅲ
[강의 목표] 1. 모음의 분류 기준 및 단모음과 이중모음의 특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음성의 결합과 운율현상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모음의 분류와 특성 2. 음성의 결합과 운율현상 |
|
2차시. 음운론 Ⅰ
[강의 목표] 1. 음성학과 음운론의 차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음소의 개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3. 변이음의 개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음성학과 음운론의 차이 2. 음소의 개념 3. 변이음의 개념 |
||
5 |
1차시. 음운론 Ⅱ
[강의 목표] 1. 한국어와 영어의 음절구조 및 음소배열제약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음운현상의 유형과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음절구조와 음소배열제약 2. 음운현상 |
[과제 제출] |
2차시. 음운론 Ⅲ
[강의 목표] 1. 음운규칙과 변별적 자질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외래어의 표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3. 방언의 음운적 차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음운규칙과 변별적 자질 2. 외래어의 표기 3. 방언의 음운적 차이 |
||
6 |
1차시. 형태론 Ⅰ
[강의 목표] 1. 형태론의 개념과 대상, 목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단어와 어휘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3. 형태소와 이형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형태론 2. 단어와 어휘부 3. 형태소와 이형태 |
|
2차시. 형태론 Ⅱ
[강의 목표] 1. 형태소를 분류하는 유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단어를 형성하는 요소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형태소의 분류 2. 단어를 형성하는 요소 |
||
7 |
1차시. 형태론 Ⅲ
[강의 목표] 1. 형태론의 영역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굴절접사와 파생접사의 차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단어형성방법에 따른 언어의 유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형태론의 영역 2. 단어형성방법에 따른 언어의 유형 |
|
2차시. 형태론 Ⅳ
[강의 목표] 1. 단어의 생성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합성어를 분류하는 유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단어의 생성 2. 합성어의 분류 |
||
8 |
중간고사
|
[정기시험] |
9 |
1차시. 통사론 Ⅰ
[강의 목표] 1. 형태론과 통사론을 비교하여 말할 수 있다. 2. 통사 단위와 문법기능을 말할 수 있다. 3. 문장의 구조의 원리와 개념을 말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통사와 통사론 2. 통사 단위와 문법기능 3. 문장의 구조 |
|
2차시. 통사론 Ⅱ
[강의 목표] 1. 통사범주의 개념과 품사의 분류기준을 설명할 수 있다. 2. 문법범주의 의미와 하위범주를 말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통사범주 2. 문법범주 |
||
10 |
1차시. 어휘론
[강의 목표] 1. 어휘론의 개념과 대상, 목표에 대해 말할 수 있다. 2. 어휘와 어휘소의 개념을 알고 어휘 정보의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. 3. 한국어 어휘 유형의 체계에서 연어 관계에 따른 유형을 상세히 분류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어휘론 2. 어휘와 어휘소 3. 한국어 어휘 유형의 체계 |
|
2차시. 의미론 Ⅰ
[강의 목표] 1. 의미론의 정의와 연구 방법에 대해 말할 수 있다. 2. 단어의 의미 관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의미와 의미론 2. 단어의 의미 관계 |
||
11 |
1차시. 의미론 Ⅱ
[강의 목표] 1. 단어의 계열적 관계와 통합적 관계에 대해 말할 수 있다. 2. 의미소와 의미장의 개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단어의 의미관계 2. 의미소와 의미장 |
[쪽지시험 응시] |
2차시. 의미론 Ⅲ
[강의 목표] 1. 성분 분석의 근거와 성분 분석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문장의 의미 관계의 특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3. 언어 행위의 개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4. 의미 변화 촉진의 요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의미 성분 분석 2. 문장의 의미 3. 언어 행위 4. 의미 변화 |
||
12 |
1차시. 역사언어학
[강의 목표] 1. 역사언어학 개념과 역사언어학의 연구 목적 및 방법에 대해 말할 수 있다. 2. 언어 변화의 양상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역사언어학 개념 2. 역사언어학의 연구 목적과 방법 3. 언어 변화의 양상 |
|
2차시. 비교언어학
[강의 목표] 1. 비교언어학의 의미와 방법에 대해 말할 수 있다. 2. 언어의 분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비교언어학 2. 비교언어학의 방법 3. 언어의 분류 |
||
13 |
1차시. 심리언어학
[강의 목표] 1. 심리언어학의 개념과 연구대상에 대해 말할 수 있다. 2. 심리언어학의 가설들과 접근방법 및 주요 연구영역에 대해 말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심리언어학의 개념과 연구대상 2. 심리언어학의 가설들 3. 접근방법 및 주요 연구영역 |
[토론제출] |
2차시. 사회언어학
[강의 목표] 1. 사회언어학의 개념과 역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사회언어학의 하위 분야를 말할 수 있다. 3. 한국 사회언어학의 현황과 과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4. 사회언어학과 관련된 주요 용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방언학과 사회언어학 2. 사회언어학의 역사 3. 사회언어학의 하위 분야 4. 한국 사회언어학의 현황과 과제 5. 주요 용어 |
||
14 |
1차시. 대조언어학 Ⅰ
[강의 목표] 1. 대조언어학의 개념과 연구 방법과 연구 대상에 대해 말할 수 있다. 2. 대조분석가설과 전이의 개념과 종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3. 오류분석 연구에 대해 말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대조언어학의 개념 2. 대조언어학의 연구 방법과 연구 대상 3. 대조분석가설 4. 전이의 개념과 종류 5. 오류분석 연구 |
|
2차시. 대조언어학 Ⅱ
[강의 목표] 1. 이론 언어학의 대조분석 연구에 대해 말할 수 있다. 2. 언어 층위에 따른 오류 현상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이론 언어학의 대조분석 연구 2. 언어 층위에 따른 오류 현상 |
||
15 |
기말고사
|
[정기시험]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