과정명 | 아동미술(이론) | 지도교수 | 박선미 |
---|---|---|---|
수업방식 | 이론중심 | 학점 | 3학점 |
학습기간 | 2022-03-02 ~ 2022-06-14(총 15주) 학습목차 바로가기 | ||
성적증명서 발급 가능 | 2022-06-29 | 성적보고 완료일 | 2022-07-05 |
학점인정신청 가능일(온라인) | 2022.07.01 - 2022.07.31 | 학위취득 | 2022년 8월 후기 |
중간 | 기말 | 과제 | 토론 | 쪽지 | 참여 | 출석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30점 | 30점 | 10점 | 5점 | 5점 | 5점 | 15점 |
학사 | 교양,아동미술학 전공,아동학 전공 |
---|---|
전문학사 | 교양,미술 전공,아동ㆍ가족 전공 |
A등급 | B등급 | C등급 이하 |
---|---|---|
20% ~ 30% | 30% ~ 40% | 30% ~ 50% |
구분 | 평가기간 | 비고 | |
---|---|---|---|
중간고사 |
2022-04-22 오전 10:00 ~ 2022-04-25 오후 10:00 |
1주차 – 7주차 (객관식 20문항, 주관식 5문항) |
|
기말고사 |
2022-06-10 오전 10:00 ~ 2022-06-13 오후 10:00 |
9주차 – 14주차 (객관식 20문항, 주관식 5문항) |
|
과제 |
2022-03-30 - 2022-05-03 (AM 10:00 – PM 22:00) |
||
토론 |
2022-05-27 - 2022-05-30 (AM 10:00 – PM 22:00) |
||
쪽지 |
2022-05-13 - 2022-05-16 (AM 10:00 – PM 22:00) |
||
참여 | 나의학습계획 |
2022-03-02 - 2022-03-22 (AM 10:00 – PM 22:00) |
|
소개서/중간평가 |
2022-04-27 - 2022-05-10 (AM 10:00 – PM 22:00) |
주차 | 학습내용 | 학습활동 |
---|---|---|
1 |
1차시. 아동미술이란?
[강의 주제] 아동미술이란? [강의 목표] 1. 아동미술의 개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미술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아동미술의 개념 2. 미술교육의 필요성 |
|
2차시. 아동미술의 교육적 의의와 가치
[강의 주제] 아동미술의 교육적 의의와 가치 [강의 목표] 1. 아동미술이 전인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아동미술이 목적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주의해야 할 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아동미술이 전인발달에 미치는 영향 2. 아동미술이 목적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주의해야 할 점 |
||
2 |
1차시. 아동미술교육의 이해
[강의 주제] 아동미술교육의 이해 [강의 목표] 1. 영유아의 발달적 특징과 영유아 교육의 목표를 이해하여 아동화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. 2. 아동화가 담고 있는 의미를 이해하여 아동미술의 구성 특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3. 아동화를 분류하는 기준에 대해 기술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아동화의 이해 2. 아동화가 담고 있는 의미 3. 아동화의 분류 기준 |
|
2차시. 아동의 미적능력 발달
[강의 주제] 아동의 미적능력 발달 [강의 목표] 1. 아동의 표현적 특성을 유형별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. 2. 아동화의 발달단계 및 특징을 연령별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아동화의 표현적 특성 2. 연령별 아동화 발달단계와 특징 |
||
3 |
1차시. 아동미술의 기본 요소
[강의 주제] 아동미술의 기본 요소 [강의 목표] 1. 아동미술의 조형 요소와 기본 요소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미술의 조형 요소와 조형 원리 2. 아동미술의 기본 요소 |
|
2차시. 아동미술의 기본 원리
[강의 주제] 아동미술의 기본 원리 [강의 목표] 1. 영유아 미술교육이 지향해야 하는 방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아동미술의 기본 원리에 대해 기술 할 수 있다. 3. 창의성을 키우는 교수학습법과 그 사례를 적용하여 수업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영유아 미술교육이 지향해야 하는 방향 2. 아동미술의 기본 원리 3. 창의성을 키우는 교수학습법 |
||
4 |
1차시. 조형의 기본 원리
[강의 주제] 조형의 기본 원리 [강의 목표] 1. 조형의 기본 원리 중 조형 요소, 통일과 변화, 대칭, 균형, 규모, 비례, 리듬, 반복, 패턴, 운동감, 조화, 대비와 대조, 강조, 점진, 반복, 착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다양한 조형 원리 Ⅰ 2. 다양한 조형 원리 Ⅱ 3. 다양한 조형 원리 Ⅲ |
|
2차시. 아동미술 교육의 내용 Ⅰ
[강의 주제] 아동미술 교육의 내용 Ⅰ [강의 목표] 1. 미술표현의 개념을 이해하여 미술활동 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다른 영역 통합의 미술활동 중 언어, 과학, 수, 사회적 발달 영역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미술표현활동이란? 2. 다른 영역 통합의 미술활동 |
||
5 |
1차시. 아동미술 교육의 내용 Ⅱ
[강의 주제] 아동미술 교육의 내용 Ⅱ [강의 목표] 1. 미술장르에 따른 미술활동의 유형 및 사례를 적용하여 수업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. 2. 협동 미술활동의 방법 및 사례를 적용하여 수업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미술장르에 따른 미술활동 2. 협동 미술활동의 방법과 의의 |
|
2차시. 아동미술 교육의 방법
[강의 주제] 아동미술 교육의 방법 [강의 목표] 1. 아동미술의 교수-학습 방법 중 활동유형, 시간, 내용, 교사의 역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아동미술의 미술교육 접근법을 유형별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교수 - 학습 방법 2. 미술교육 접근법 |
||
6 |
1차시. 재료 제공 및 환경 구성
[강의 주제] 재료 제공 및 환경 구성 [강의 목표] 1. 아동미술활동 시의 환경 구성을 위한 요소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인적 환경 구성을 위한 교사의 자질, 자세, 역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기본 설비 및 설비, 미술재료 2. 인적 환경 : 교사의 자질, 교사의 역할 |
|
2차시. 아동미술교사의 역할
[강의 주제] 아동미술교사의 역할 [강의 목표] 1. 아동미술교사가 갖추어야 할 기본조건 및 역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아동미술교사가 갖추어야 할 기본조건 2. 아동미술교사의 역할 |
||
7 |
1차시. 아동미술의 평가
[강의 주제] 아동미술의 평가 [강의 목표] 1. 평가의 개념을 이해하여 아동미술 활동 평가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아동미술 활동의 평가 내용과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3. 아동미술 활동 중 전시 활동의 개념 및 유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4. 아동미술 활동의 평가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미술 활동의 평가 2. 평가의 내용 및 방법 3. 전시 4. 평가 관리 |
|
2차시. 아동미술 프로그램
[강의 주제] 아동미술 프로그램 [강의 목표] 1. 아동미술 프로그램의 개념을 이해하여 아동미술 프로그램의 구성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아동미술 프로그램의 특징 및 교육과정 절차를 유형별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아동미술 프로그램의 이해 2. 아동미술 프로그램의 구성 3. 프로그램의 내용 |
||
8 |
중간시험
범위 : 1주차~7주차 |
정기시험 |
9 |
1차시. 미술의 역사와 미술교육의 흐름
[강의 주제] 미술의 역사와 미술교육의 흐름 [강의 목표] 1. 미술의 역사적 변천 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목적에 따라 분류된 미술교육의 시대별 변화 내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미술의 역사적 변천 과정 2. 미술교육의 흐름 |
|
2차시. 아동미술교육 실태와 대안
[강의 주제] 아동미술교육 실태와 대안 [강의 목표] 1. 현대 아동미술교육의 실태를 파악하여 아동미술교육의 문제점과 대안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아동미술교육의 실태 2. 아동미술교육의 문제점과 대안 |
||
10 |
1차시. 아동 미술 감상활동 Ⅰ
[강의 주제] 아동미술 감상활동 Ⅰ [강의 목표] 1. 감상의 의미를 이해하여 감상활동의 필요성 및 교육적 가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아동미술 활동의 감상태도 및 감상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감상의 의미 2. 감상의 필요성 3. 감상태도 4. 감상방법 |
|
2차시. 아동 미술 감상활동 Ⅱ <실제편>
[강의 주제] 아동미술 감상활동 Ⅱ <실제편> [강의 목표] 1. 서양의 화가들과 작품들을 학습하여 아동과 함께하는 다양한 미술 감상 활동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서양의 화가 ① 2. 서양의 화가 ② 3. 서양의 화가 ③ |
||
11 |
1차시. 아동 미술 감상활동 Ⅲ <실제편>
[강의 주제] 아동 미술 감상 활동 Ⅲ <실제편> [강의 목표] 1. 한국의 화가들과 작품들에 대해 학습하여 아동과 함께하는 작품 전시 및 게시 활동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한국의 화가 2. 작품 게시 및 전시 기법의 소개 |
|
2차시. 새로운 장르의 미술활동 <실제편>
[강의 주제] 새로운 장르의 미술활동 <실제편> [강의 목표] 1. 팝아트와 비디오 아트의 개념과 그 사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캘리그라피의 정의를 이해하여 캘리그래피 활동을 위한 조건과 장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3. 대지예술, 생태유아미술의 개념과 활동 사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팝아트, 비디오 아트 2. 캘리그래피의 정의 3. 대지예술, 생태유아미술 |
||
12 |
1차시. 누리과정 - 예술경험
[강의 주제] 누리과정 - 예술경험 [강의 목표] 1. 3 · 4 · 5세 누리과정에 수록된 아동미술 활동의 주요 내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미술활동 환경 구성을 위한 원리 및 지침을 학습하여 연령별 특성에 맞는 지도서를 작성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3 · 4 · 5세 누리과정에 수록된 미술활동의 소개 2. 지도서 활용 방법 |
|
2차시. 생활주제에 따른 다양한 미술활동 Ⅰ<실제편>
[강의 주제] 생활주제에 따른 다양한 미술활동 Ⅰ <실제편> [강의 목표] 1. 즐거운 어린이집, 봄 · 여름 · 가을 · 겨울을 주제로 한 미술활동 및 미술 기법 시연 학습을 통해 미술활동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주제별 추천 활동 소개 2. 아동미술의 기본 : 그리기와 만들기 3. 다양한 미술 기법 시연 |
||
13 |
1차시. 생활주제에 따른 다양한 미술활동 Ⅱ <실제편>
[강의 주제] 생활주제에 따른 다양한 미술활동 Ⅱ <실제편> [강의 목표] 1. 나, 우리가족, 우리 동네, 동물을 주제로 한 미술활동 및 미술 기법 시연 학습을 통해 미술활동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주제별 추천 활동 소개 2. 유아교육기관에서 많이 하는 미술 활동과 기법 3. 다양한 미술 기법 시연 |
|
2차시. 생활주제에 따른 다양한 미술활동 Ⅲ <실제편>
[강의 주제] 생활주제에 따른 다양한 미술활동 Ⅲ [강의 목표] 1. 기계와 생활, 교통과 안전, 우리나라, 세계 속의 우리나라, 지구와 환경을 주제로 한 미술활동 및 미술 기법 시연 학습을 통해 미술활동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주제별 추천 활동 소개 2. 자연물을 이용한 미술 활동 3. 다양한 미술 기법 시연 |
||
14 |
1차시. 그림동화책을 통한 아동미술활동 <실제편>
[강의 주제] 그림동화책을 통한 아동미술활동 <실제편> [강의 목표] 1. 그림동화책을 활용한 아동미술활동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융합 창의 미술의 종류와 그 사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그림동화책을 통한 아동미술활동 2. 융합 창의 미술의 세계 |
|
2차시. 아동미술치료
[강의 주제] 아동미술치료 [강의 목표] 1. 미술치료의 개념과 미술치료가 시작된 역사적 배경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미술치료의 장점 및 공통점과 차이점을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. 3. 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의 해석 기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미술치료의 개념 2. 미술치료의 역사 3. 미술치료의 장점 4. 미술치료의 공통점과 차이점 5. 미술치료의 이해 |
||
15 |
기말시험
범위 : 9주차~14주차 |
정기시험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