과정명 | 아동관찰및행동연구(이론) | 지도교수 | 허은주 |
---|---|---|---|
수업방식 | 이론 및 실기 병행 | 학점 | 3학점 |
학습기간 | 2022-01-05 ~ 2022-04-19(총 15주) 학습목차 바로가기 | ||
성적증명서 발급 가능 | 2022-05-04 | 성적보고 완료일 | 2022-05-10 |
학점인정신청 가능일(온라인) | 2022.07.01 - 2022.07.30 | 학위취득 | 2022년 8월 후기 |
중간 | 기말 | 과제 | 토론 | 쪽지 | 참여 | 출석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30점 | 30점 | 10점 | 5점 | 5점 | 5점 | 15점 |
학사 | 아동학 전공 |
---|---|
전문학사 | 아동ㆍ가족 전공 |
A등급 | B등급 | C등급 이하 |
---|---|---|
20% ~ 30% | 30% ~ 40% | 30% ~ 50% |
구분 | 평가기간 | 비고 | |
---|---|---|---|
중간고사 |
2022-02-25 오전 10:00 ~ 2022-02-28 오후 10:00 |
1주차 – 7주차 (객관식 20문항, 주관식 5문항) |
|
기말고사 |
2022-04-15 오전 10:00 ~ 2022-04-18 오후 10:00 |
9주차 – 14주차 (객관식 20문항, 주관식 5문항) |
|
과제 |
2022-02-02 - 2022-03-08 (AM 10:00 – PM 22:00) |
||
토론 |
2022-04-01 - 2022-04-04 (AM 10:00 – PM 22:00) |
||
쪽지 |
2022-03-18 - 2022-03-21 (AM 10:00 – PM 22:00) |
||
참여 | 나의학습계획 |
2022-01-05 - 2022-01-25 (AM 10:00 – PM 22:00) |
|
소개서/중간평가 |
2022-03-02 - 2022-03-15 (AM 10:00 – PM 22:00) |
주차 | 학습내용 | 학습활동 |
---|---|---|
1 |
1차시.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방법의 개요 Ⅰ
[강의 목표] 1. 영유아 관찰에 대한 의미, 필요성, 목적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영유아 행동연구에 대한 의의와 역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영유아 관찰 2. 영유아 행동연구 |
[수업보조자료] - 온라인 강의 - 교안(강의노트) - 음성파일(mp3) 다운로드 제공 (전 주차 적용) |
2차시.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방법의 개요 Ⅱ
[강의 목표] 1. 영유아 관찰 및 행동연구 유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영유아 관찰 및 행동연구 당면문제와 개선방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영유아 관찰 및 행동연구 유형 2. 영유아 관찰 및 행동연구 당면문제와 개선방향 |
||
2 |
1차시. 아동관찰의 기초 Ⅰ
[강의 목표] 1. 관찰자의 자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관찰의 절차와 관찰 기록의 예를 살펴봄으로써 보육현장에서의 아동관찰기록에 적용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관찰자의 자세 2. 관찰의 절차 |
[수업보조자료] - 온라인 강의 - 교안(강의노트) - 음성파일(mp3) 다운로드 제공 (전 주차 적용) |
2차시. 아동관찰의 기초 Ⅱ
[강의 목표] 1. 관찰과정에서의 유의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관찰연습을 통한 관찰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관찰과정에서의 유의점 2. 관찰연습 |
||
3 |
1차시. 영유아 연령에 따른 발달특성과 관찰 Ⅰ
[강의 목표] 1. 영유아 발달의 신체, 사회, 정서, 언어, 인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0세, 1세 영아의 발달특성 및 관찰내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영유아 발달과 관찰 1) 발달의 의미 2) 신체운동 · 건강발달과 관찰 3) 사회 발달과 관찰 4) 정서 발달과 관찰 5) 언어 발달과 관찰 6) 인지발달과 관찰 2. 영아의 발달특성과 관찰 1) 개요 2) 0세 영아의 발달특성 및 관찰 3) 1세 영아의 발달특성 및 관찰 |
[수업보조자료] - 온라인 강의 - 교안(강의노트) - 음성파일(mp3) 다운로드 제공 (전 주차 적용) |
2차시. 영유아 연령에 따른 발달특성과 관찰 Ⅱ
[강의 목표] 1. 2세 영아의 발달특성 및 관찰내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3세, 4세, 5세 유아의 발달특성 및 관찰내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영아의 발달특성과 관찰 1) 2세 영아의 발달특성 및 관찰 2. 유아의 발달특성과 관찰 1) 3세 유아의 발달특성 및 관찰 2) 4세 유아의 발달특성 및 관찰 3) 5세 유아의 발달특성 및 관찰 |
||
4 |
1차시. 관찰방법 및 기록 Ⅰ
[강의 목표] 1. 표본기록법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일화기록법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표본기록법 2. 일화기록법 |
[수업보조자료] - 온라인 강의 - 교안(강의노트) - 음성파일(mp3) 다운로드 제공 (전 주차 적용) |
2차시. 관찰방법 및 기록 Ⅱ
[강의 목표] 1. 서술식 사건표집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빈도 사건표집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3. 시간표집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서술식 사건표집법 2. 빈도 사건표집법 3. 시간표집법 |
||
5 |
1차시. 관찰방법 및 기록 Ⅲ
[강의 목표] 1. 행동목록법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평정척도법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행동목록법(약호식 관찰법) 2. 평정척도법(약호식 관찰법) |
[수업보조자료] - 온라인 강의 - 교안(강의노트) - 음성파일(mp3) 다운로드 제공 (전 주차 적용) |
2차시. 조사연구
[강의 목표] 1. 조사연구의 개념 및 절차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조사연구를 위한 자료수집과 유의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조사연구의 개념 및 절차 2. 조사연구를 위한 자료수집과 유의점 |
||
6 |
1차시. 영유아 검사
[강의 목표] 1. 영유아 검사의 성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영유아 검사의 선정, 실시 및 해석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3. 영유아 검사를 분류하고 그 유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영유아 검사의 성격 2. 영유아 검사의 선정, 실시 및 해석방법 3. 영유아 검사의 분류 4. 영유아 검사의 유형 |
[수업보조자료] - 온라인 강의 - 교안(강의노트) - 음성파일(mp3) 다운로드 제공 (전 주차 적용) |
2차시. 사례연구
[강의 목표] 1. 사례연구의 개념 및 절차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사례연구의 자료수집과 적용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3. 사례연구의 장단점과 유의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사례연구의 개념 및 절차 2. 사례연구의 자료수집과 적용 3. 사례연구의 장단점과 유의점 |
||
7 |
1차시. 물리적 환경관찰 Ⅰ
[강의 목표] 1. 물리적 환경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실내환경의 관찰로써 아동의 흥미영역의 분류와 필요한 구성품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물리적 환경의 중요성 2. 실내환경 관찰 |
[수업보조자료] - 온라인 강의 - 교안(강의노트) - 음성파일(mp3) 다운로드 제공 (전 주차 적용) |
2차시. 물리적 환경관찰 Ⅱ
[강의 목표] 1. 실내·외 환경 관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시설 및 설비 관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실내환경 관찰 2. 실외환경 관찰 3. 시설 및 설비 관찰 |
||
8 |
중간시험
범위 : 1주차~7주차 |
정기시험 |
9 |
1차시. 일과운영과 관찰
[강의 목표] 1. 영아기 일과운영의 원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영아기 일과운영의 관찰기록지를 살펴봄으로써 보육현장에서의 영아관찰기록에 적용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영아기 일과운영의 원리 2. 일과운영에서의 영아관찰 |
[수업보조자료] - 온라인 강의 - 교안(강의노트) - 음성파일(mp3) 다운로드 제공 (전 주차 적용) |
2차시. 유아기 일과운영
[강의 목표] 1. 유아기 일과운영의 원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유아기 일과운영에서의 유아관찰지를 살펴봄으로써 보육현장에서의 유아관찰기록에 적용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유아기 일과운영의 원리 2. 일과운영에서의 유아관찰 |
||
10 |
1차시. 집단활동 관찰 및 평가 Ⅰ
[강의 목표] 1. 이야기 나누기 지도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동화 지도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3. 동시 지도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이야기 나누기 2. 동화 3. 동시 |
[수업보조자료] - 온라인 강의 - 교안(강의노트) - 음성파일(mp3) 다운로드 제공 (전 주차 적용) |
2차시. 집단활동 관찰 및 평가 Ⅱ
[강의 목표] 1. 동극의 지도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음악활동의 지도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3. 음률(율동)활동의 지도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동극 2. 음악활동(새노래 지도 및 노래부르기) 3. 음률(율동)활동 |
||
11 |
1차시. 집단활동 관찰 및 평가 Ⅲ
[강의 목표] 1. 게임의 지도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미술활동의 지도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3. 요리활동의 지도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4. 실험활동의 지도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게임 2. 미술활동 3. 요리활동 4. 실험활동 |
[수업보조자료] - 온라인 강의 - 교안(강의노트) - 음성파일(mp3) 다운로드 제공 (전 주차 적용) [오프라인대면출석] - 대면수업병행 - 출석시험(1회) |
2차시. 상호작용 관찰도구
[강의 목표] 1. 유아-교사-교구 상호작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교사 상호작용 척도(CIS)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유아-교사-교구 상호작용 2. 교사 상호작용 척도(CIS) |
||
12 |
1차시. 학부모 면담 Ⅰ
[강의 목표] 1. 부모면담의 목적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부모면담의 계획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3. 부모면담의 실행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부모면담 목적 2. 부모면담 계획 3. 부모면담 실행 |
[수업보조자료] - 온라인 강의 - 교안(강의노트) - 음성파일(mp3) 다운로드 제공 (전 주차 적용) [오프라인대면출석] - 대면수업병행 - 출석시험(1회) |
2차시. 학부모 면담 Ⅱ
[강의 목표] 1. 부모면담의 실행으로 개인면담, 집단면담, 전화 및 온라인 면담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부모면담에 대한 평가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부모면담 실행 2. 부모면담 평가 |
||
13 |
1차시. 포트폴리오 평가 Ⅰ
[강의 목표] 1. 포트폴리오 평가의 기본내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포트폴리오 평가의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포트폴리오의 이해 2. 포트폴리오 평가의 구성요소 |
[수업보조자료] - 온라인 강의 - 교안(강의노트) - 음성파일(mp3) 다운로드 제공 (전 주차 적용) |
2차시. 포트폴리오 평가 Ⅱ
[강의 목표] 1. 포트폴리오 평가를 위한 계획단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포트폴리오 평가의 실행단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3.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활용단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포트폴리오 평가절차 1) 포트폴리오 평가를 위한 계획단계 2) 포트폴리오 평가 실행단계 3) 포트폴리오 평가 및 활용단계 |
||
14 |
1차시.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평가
[강의 목표] 1. 유아평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연령별 누리과정에서의 유아평가도구와 준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3. 연령별 누리과정에서의 유아평가에 대해 연간 평가활동계획의 예를 살펴봄으로써 보육현장에서 유아관찰 및 평가에 적용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유아평가의 이해 2. 연령별 누리과정에서의 유아평가 3. 연령별 누리과정에서의 유아평가 실제 |
[수업보조자료] - 온라인 강의 - 교안(강의노트) - 음성파일(mp3) 다운로드 제공 (전 주차 적용) |
2차시. 표준보육과정에서의 영아평가
[강의 목표] 1. 표준보육과정에서의 영아평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2. 표준보육과정에서의 영아평가 실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3. 연령별 누리과정에서의 유아평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[강의 세부내용] 1. 표준보육과정에서의 영아평가 2. 표준보육과정에서의 영아평가 실제 3. 연령별 누리과정에서의 유아평가 |
||
15 |
기말시험
범위 : 9주차~14주차 |
정기시험 |